이번에 관련 법령이 개정되면서 모든 웹사이트 (개인정보를 받는 사이트, 로그인을 하기 위해 비밀번호를 받는 사이트) 에 의무적으로 보안서버 (SSL) 을 도입해야 합니다.
대개의 경우 SSL 인증서 구매비용이 부담되는것이 사실입니다. 1
많이 쓰는 인증서의 경우 Rapid , comodo 인증서를 많이 구매합니다.
verisign 도 있지 않냐고 하시는 분들이 계시겠지만... 이쪽은 가격이 비싸도 너~~~~~무 비싸.
어떤 분들은 startssl.com 에서 StartSSL Free 인증서를 발급받기도 합니다.
StartSSL.COM
StartSSL 의 장점은 두번 말하면 입 아픕니다. 무료! 무료!
인증기간은 1년이지만, 만료전에 메일 날아와서 재갱신하면 평생 무료로 쓸수도 있다는것!
단, client certificate (로그인하는데 필요한 클라이언트 인증서) 를 분실하면 두번다시 발급받지 못한다는것이 가장 중요!!!!! (저는 도메인 하나를 이렇게 날려먹어서 돈 내고 발급 받았네요 ㅠ)
Rapid 와 comodo 인증서가 Verisign 이나 유명한 인증업체보다 가격이 너무 저렴한데 인증서가 이상한것이 아니냐 하는 분도 계시겠지만~ 전혀 아닙니다.
똑같은 인증서입니다. 브라우저 호환성도 99.3% ~ 99.9% 까지 호환됩니다.
(사실 인증서의 경우 거품이 좀 심한편이긴 합니다.)
하지만, 저렴하다고 해도 Comodo Essential SSL Certificate 도 30,000 ~ 60,000 원 사이인데요. 같은 종류의 인증서라도 인증서 판매업체마다 가격이 제각각입니다.
이런 시장상황에서 거의 최저가(현재 이것보다 낮은 가격을 본적이 없네요)로 판매하고 있는 업체가 있어 소개합니다.
해당 회사 홈페이지로 링크를 겁니다.
- SSL인증서란 웹서버 인증서, 서버 인증서 라고도 하며 일반 사용자(클라이언트)가 사이트(서비스 서버, naver등과 같은 일반 사이트 및 쇼핑몰등)에 접속할때 주고받는 모든 정보(아이디등의 회원정보나, 결제시 신용카드 정보등)를 암호화해주는 것으로서 SSL(Secure Socket Layer)통신을 이용합니다. [본문으로]
'Computer > communit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P 울트라북 Envy 4-1031TU 구매후기 (7) | 2012.09.13 |
---|---|
구글 애드워즈는 좀 까다롭네 (0) | 2012.09.12 |
인터넷진흥원에 보안서버도입관련 개인정보 질의한 답변입니다. (2) | 2012.08.17 |
보안서버(SSL) 도입 의무화를 위반하면?? (3) | 2012.08.14 |
2012년 8월부터 시행되는 주민등록번호 수집 이용 제한에 관한 자료 (0) | 2012.08.07 |